국정브리핑의 가짜기사 파문은 예견된 일이었다

'언론개혁' - 한때 우리 사회의 유행어가 되다시피 한 단어다. 여기서도 저기서도 '언론이 문제'라고들 말했다. '우리나라에는 정론지가 없다'는 소리도 자주 들렸다. 이 나라 언론 시장이 그만큼 문제가 많다는 의미고, '자유'를 생명으로 하는 언론에 정부가 기어이 뛰어들어 간섭하려 한 것도 이 때문이었을 터다. 

그러나 정부를 비롯하여 사회 전체가 나서 몇 년 동안 목소리를 높였지만, '언론개혁'은 여전히 요원한 일로만 보인다. 최근에는 그 목소리마저 잦아들었고, 이제는 어디서도 그 가열차게 부르대던 그 목소리는 들리지 않는다. 들리는 게 있다면, 신문발전 기금 등의 정부 보조금을 누가 받느니 마느니, 누가 더 받느니 어쩌느니 하는, 도대체 언론개혁과는 동떨어진, 저열한 밥그릇 싸움에 관한 것 뿐이다.

이유는 두 가지다. 하나는 언론개혁을 소리 높여 부르대던 측 또한 그 행태나 속내를 따지고 보면 그들이 개혁의 대상으로 삼고 있는 언론과 비교하여 하나 다를 바 없는 모습을 보이고 있는 때문이고, 다른 하나는 ‘언론개혁’이라는 시대의 화두에 주목한 현실적인 목표가 실제로는 정부에서 나누어주는 ‘떡고물‘에 있었기 때문이다.

언론이 ‘언론’이 아니라 정치적으로 기동하는 기관지 수준이고 끝도 없이 독자의 흥미에만 영합하는 ‘황색 찌라시’ 수준인 점에서 언론개혁을 부르대는 쪽이나 그 대상이 되는 쪽은 저울에 올려 몇 눈금도 차이를 찾기 힘들 정도로 대동소이하다. 차이가 있다면, 자유 시장 경쟁을 강조하는 쪽이 개혁을 부르대는 쪽에 비해 자금과 기득권에서 상당한 비교우위를 점하고 있다는 사실 뿐이다.

당연히 전자는 기를 쓰고 기득권을 유지하려 애를 쓰고, 후자는 정권의 힘을 빌어 어떻게든 이 자금과 힘의 열세를 만회하려 안간힘이었다. 이것이 한때 온 나라를 들썩이게 한, ‘언론개혁’의 담론이 생산되고 유통되는 가장 직접적이고 핵심적인 기제였다.

이 같은 사실에 비추어보면, 최근 청와대 국정브리핑이 만들어낸 가짜 기사 파문은 전혀 이상한 일도 아니다. 원하는 목적을 위해서라면 수단과 방법은, 그것이 비록 부당한 것이라 할지라도 얼마든지 차용할 수 있다는 것이 언론개혁 논쟁을 촉발한 핵심 기제였기 때문이다. 오마이뉴스의 ‘앙마 조작 기사’와 민중의 소리의 ‘철사줄로 꽁꽁 묶여’ 등의 거짓 기사 사례는 불온한 언론개혁의 주장 속에 이미 배태되어 있었던 것이다. (계속)




Trackback URL : http://blog.mintong.org/trackback/161

Trackback RSS : http://blog.mintong.org/rss/trackback/161

Trackback ATOM : http://blog.mintong.org/atom/trackback/161

  1. 친여매체, 그 서글픈 군상

    Tracked from 하민혁의 통신보안 2006/07/10 15:16 Löschung

    <TABLE cellSpacing=0 cellPadding=0 width="100%" border=0> <TBODY> <TR> <TD><A target='_blank' cl


당신의 의견을 작성해 주세요.

  1. Comment RSS : http://blog.mintong.org/rss/comment/161
  2. Comment ATOM : http://blog.mintong.org/atom/comment/161
  3. 지나가던이 2006/07/20 22:42  편집/삭제  댓글 작성  댓글 주소

    트랙백하신 블로그에 올린 댓글입니다.

    신문발전기금의 대상을 보니 하긴 '촌지'라는 표현을 쓰신것이 그리 과하다고 생각되지는 않는군요. 그렇긴 한데 합헌,위헌 결정에 대해서 그게 정부를 위한 행동이었는지는 잘 모르겠습니다. 보통 헌재까지 갈 정도의 사안이라면 충분히 논쟁의 소지가 있다는 것이고 합헌이 되든 위헌이 되든 현실세계에 막대한 영향을 끼치는건 마찬가지 아닙니까? 헌재에 올라가서 위헌이 되는 사안이 얼마든지 있을 수 있는 세상인데요. 위헌이 되는 것이 합헌보다 더 괜찮은 뉴스감이라고 판단되지는 않습니다. 그런면에서 위헌,합헌을 동시에 헤드라인에 올린 한겨레 신문은 최소한 이번건에 대해선 정부의 입맛에 맞는 기사를 생산했는지 의심스럽습니다. 아, 2중제목의 순서에 대해서 말씀하신다면 할말은 없습니다만..

  4. 지나가던이 2006/07/20 23:02  편집/삭제  댓글 작성  댓글 주소

    저는 한겨레가 올린 보조금을 받은 까닥에 대한 기사가 아쉬운 대로나마 자기변명을 하는 것 같아 보입니다. 문제는 정부 보조금의 속성에 대한 비판인데 이건 일리가 있고 한겨레가 그 함정에 빠지지 말기를 바랄 뿐입니다. 사실, 그럴 기미가 보이면 난타당하는건 한겨레일 테니 각별한 주의를 하기는 해야겠죠. 그렇다고 아예 문제가 될 사안을 기사화하지 않으면 언론기능이 마비되겠지만..

    • 하민혁 2006/07/21 00:00  편집/삭제  댓글 주소

      아쉬운 대로의 자기변명이 아니라 분명한 자기 변명이 되고 있지요. 다만, 그럼에도 굳이 그 발전기금을 받은 까닭과 함께 한겨레의 만평 하나를 이곳 블로그에 옮겨실은 이유는 그게 몇 마디 변명으로 그렇게 쉽게 카바될 수 있는 게 아니라는 의미에서였습니다.

      한겨례가 비록 정당한 논조의 기사를 쓰고 만평을 쓴다고 해도 이제 한겨레는 저 정부의 촌지를 받은 신문이라는 비판적 시각에서 결코 자유로울 수가 없어요.

      솔직히 르몽드지도 정부의 지원 받는다는 식의 변명은 안하느니만 못했다는 생각도 듭니다. 도대체 논점이 전혀 다른 상황에서 끌어다붙이는 그 논리가 너무 구차해 보여요.

    • 지나가던이 2006/07/21 05:22  편집/삭제  댓글 주소

      상당부분 동감합니다.
      촌지란게 쌍방이 어떤 조건을 두고 합의하는 거래되는
      '뇌물'이 아니라 주는 쪽에서 어느정도를 막연히 기대하고
      주는 것이니 혐의성을 밝혀낸다는게 더 어렵죠. 대상 선정기준이 상당부분 '친여적'이지 않는다면 말이지요. 비생산적인
      논쟁이 나올 수도 있죠. 문제는 발전기금의 대상이 친여쪽 언론이 많다보니 정부에서의 기대가 있을 것이라는 걸로 추측이 가능하죠. 이게 한겨레한테는 흠이 되는 거고..

      르몽드와 한겨레 상황이 차이점이 어떤건지는 알아봐야 겠군요. 잘 모르는 이야기 라서요. . 그렇고 보니 '촌지'혐의는 결국 한겨레의 부실한 대응에서 증폭되는 것이군요. 정말 그렇게 되지 않았으면 하는 바램일뿐.

: 1 : ... 668 : 669 : 670 : 671 : 672 : 673 : 674 : 675 : 676 : ... 813 :